전세보증보험(HUG)은 전세계약 종료 후,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전세 보증금을 반환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 발생을 대비하여 전세 보증금의 반환 책임을 위해 가입하는 보증입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 및 신청방법에 대해서 카카오페이를 이용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세보증보험이란?
전세보증보험은 전세 계약에 대해 만약의 경우에 대비하여 HUG, SGI 보증을 통한 보증금 반환보증입니다. 급격한 부동산 가격의 상승 이후, 전 세계적인 경제 위기와 국내 다양한 이유로 부동산의 가격이 이전 대비 하락하였고, 이로 인하여 전세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습니다. 임차인의 경우, 보증금을 지키기 위해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세보증보험 신청 방법에는
1. 지사 또는 위탁은행 방문하여 신청
2. 모바일 신청: 네이버부동산, 카카오페이, KB국민카드 이용하여 가능
3. 모바일 보증 신청: 주택도시보증공사 모바일보증 앱을 이용하여 가능(모바일 HUG)
위 세가지의 방법 중 2번의 '카카오페이'로 신청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세보증보험 신청하기(카카오페이)
전세보증보험을 신청하는 방법에는 크게 세 가지의 방법이 있지만, 편리한 2번 모바일 - 카카오페이 신청으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아이폰 기준)
1. 카카오페이 어플 설치 및 가입 후, 어플리케이션 오픈
-> 우측 하단 '전체' 클릭합니다.

2. 전체서비스 - 전세반환보증 선택
-> 전체서비스에서 하단으로 내리다 보면 '전세반환보증'이 있습니다.


3.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신청하기
-> 우리집 보증료 계산을 통해 미리 확인도 가능하고, 신청하기로 신청을 시작합니다.

4. 신청하기
-> 예상보험료를 미리 산정해 볼 수 있습니다.

5. 약관 동의 및 확인

6. 가입 전 셀프체크
-> 아파트, 오피스텔인지 다세대, 연립, 빌라인지에 따라 선택하고 하단의 셀프 체크를 통해 확인합니다.

7. 신청인 정보 입력

8. 전세대출여부 확인
->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원하는 집 계약을 위해서 전세 대출에 대한 여부를 확인합니다. 여부에 따라서 선택하고 진행하시면 됩니다.(전세 대출 없다는 가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9. 보증보험 가입 주세 및 상세정보 입력
->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신청을 위해 보증보험 가입이 필요한 집의 주소와 보증금, 계약기간등 순서대로 정확히 입력합니다

10. 예상 보증료 확인 및 할인 혜택 조건
-> 정보를 정확히 입력하고, 예상 보증료를 확인합니다. 또한 할인 혜택의 내용을 확인하여 해당사항이 있다면 선택합니다.


11. 최종 예상 보증료 확인
-> 입력한 정보를 통해 예상 보증료를 확인하고 서류제출로 넘어갑니다.

12. 서류제출 및 심사 승인
-> 전세보증보험 가입을 위한 마지막 단계입니다. 제출해야 할 서류를 정해진 기한 내에 제출합니다. 언제까지 제출해야 하는지, 얼마나 남았는지 알려주는 카카오페이입니다.
-> 제출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고 업로드 하고 서류제출하면 마무리됩니다.


제출이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심사가 이루어지고 승인이 됩니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다시 요구조건을 충족시켜서 서류를 제출하면 됩니다. 이상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신청 방법(모바일 카카오페이)을 알아보았습니다.
'쉽게 풀어주는 정책 &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가탄신일 부처님오신날 토요일 휴무 대체공휴일 여부 알아보기 (0) | 2023.05.25 |
---|---|
복지로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3.05.16 |
전입신고 인터넷 모바일(정부24) (0) | 2023.05.03 |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국세청 홈텍스) (0) | 2023.05.02 |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발급(정부24) (0) | 2023.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