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입신고는 이사를 하면 세대주 등의 신고의무자에 의해서 14일 이내에 새로운 거주지 주민센터를 방문하거나 인터넷 또는 모바일을 통해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전세나 월세 세입자의 경우에는 보증금 보호를 위해 가능한 이사당일 또는 빠른 시간 내에 전입신고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면, 모바일을 이용하여 전입신고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전입신고를 모바일로 하는 방법을 이제 알아보겠습니다.
1. 정부24 어플 다운로드 및 접속(검색창에 전입신고 검색)
-> 모바일 진행을 위해서 정부 24 어플이 필요합니다. 다운로드 및 접속합니다.
2. 신청하는 사람의 연락처 및 전입사유를 선택합니다.
3. 현재 살고 있는 주소 조회
-> 현재 살고있는 주소 검색 및 확인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4. 현재 주소 검색 후, 이사 가는 사람 선택
-> 현재 주소 검색 후, 다음 단계로 가면 이사 가는 사람 선택 사항이 나옵니다. 개인 상황에 따라 선택합니다.
5. 전입신고 할 주소를 검색
->전입신고를 통해 이사할 주소를 검색하고, 하단에 몇 가지 묻는 정보에 대한 대답 후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6. 이사가는 곳의 상황에 따라 선택사항에서 선택
-> 이사가는 곳이 빈집으로 이사라면 첫 번째 항목을 선택하고, 기존 세대주가 있고 그 밑으로 간다면 두 번째 사항을 선택합니다.
-> 기존 세대주가 있는 경우, 기존 세대주 이름, 주민등록번호, 휴대폰 번호등 기본 정보를 확인하고 다음 단계로 갑니다.
7. 추가 서비스 신청 확인
-> 우편물 주소 이전 서비스 신청에 대한 사항이 나옵니다. 관내 이동은 무료(3개월)이고, 관외 이사일 경우 유료이니 참고 바랍니다.
8. 전입신고 신청안내
-> 마지막으로 전입신고 신청에 대한 최종 확인 팝업을 확인합니다.
-> 신청안내 사항 확인 후, 이상 없으면 확인 버튼을 선택합니다.
9. 최종신청 확인
-> 이제 신청이 완료 되었습니다. 이사 가는 곳에 기존 세대주가 없으면 아래 문구와 다를 수 있습니다.
-> 저의 경우에는 기존 세대주 이하로 편입되는 것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문구를 확인했습니다.
10. 서비스 신청내역 확인하기
-> 전입신고 신청 후, 정상적으로 신청이 되었는지 한번 더 확인합니다.
-> 접수가 정상적으로 되었다면 완료 된 것입니다.
'쉽게 풀어주는 정책 & 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지로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신청하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3.05.16 |
---|---|
전세보증보험(HUG)가입 모바일 신청방법(카카오페이) (0) | 2023.05.08 |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국세청 홈텍스) (0) | 2023.05.02 |
건강보험 자격득실확인서 인터넷발급(정부24) (0) | 2023.05.01 |
한국주택금융공사 원금상환유예 방법 및 신청 (0) | 2023.04.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