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쉽게 풀어주는 정책 & 제도

전국 지하철 무료이용 가능한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방문 및 인터넷 신청

by 이지준 2023. 4. 18.

장애인등록증은 금융기능(신용 및 체크카드 기능)의 유무에 따라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과 '신분증형 장애인등록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요.

장애인이 증을 신청하실 때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장애인은 전국에서 지하철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데,

지금까지 장애인등록증으로 무료로 지하철을 이용하려면 본인 주소지에서만 가능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1회용 무임승차권을 받아야 가능했었습니다.

하지만 4월부터 장애인등록증으로 전국 어디서나 지하철을 무료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해요.

또한, 지금까지는 6개 시,도에서만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장애인등록증을 발급했었는데

2023년 4월 부터는 '전국에서' 발급 가능하다고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서 살펴보겠습니다.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기존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문제점

 

기존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의 문제점은

교통복지카드발급 지역 지하철에서만 무임승차할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인천, 충남 등 6개 지자체에서만 교통복지카드를 발급할 수 있었고,

그 외 지역에서 교통기능을 선택할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교통수단별 각기 다른 카드가 필요했었어요.

따라서, 발급받은 지자체에서만 지하철 무임태가 승차가 가능했고,

그 외 지역에서는 이용시마다 1회용 무임승차권을 발급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어요.

 

장애인등록증 개선사항 및 시행내용

 

이러한 상황을 알았는지 2023년 4월에 장애인등록증이 완전 개선되었습니다.

기존 6개 도시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호환되는 교통복지카드 발급이 가능해집니다.

 

 

2023년 4월 1일 이후 신청하는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의 경우입니다.

이 복지카드로는 버스(유임), 지하철(무임) 모두 결제가능합니다,

 

장애인복지카드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방문 신청 방법 및 준비물

 

서울, 인천, 충남에서 발급받은 기존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은 4월부터 자동적으로 전국 호환되므로 재발급 받을 필요가 없지만 새로 발급받으셔야 하는 분은 전국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방문 신청가능합니다.

 

 

하지만, 기존에 신분증형 복지카드를 가지고 계시는데 금융카드형으로 바꾸시기 원하시는 분은

날짜를 잘 보고 가셔야 해요.

신청날짜 지역
2023년 4월 1일 부터 서울, 인천, 충남, 부산, 대구, 광주
2023년 5월 1일 부터 울산, 세종, 전북, 경북, 제주
2023년 6월 1일 부터 대전, 강원, 충북, 전남, 경남
2023년 7월 1일 부터 경기

 

방문신청시 준비물은 본인 신분증 및 사진을 지참하셔야 하는데

사진은 기존 주민등록증 사진이나 장애인등록증의 사진을 재활용 하시려면 준비 안하셔도 됩니다.

다만, 법정대리인이 신청하는 경우에는 법정대리인의 신분증  성년후견개시심판 결정문 등이 필요합니다.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인터넷 신청 방법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인터넷 신청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바로가기 링크를 남겨놓을테니 들어가셔서 간편하게 신청하세요.

 

 

정부 24사이트에서는 꼭 장애인 본인 명의로 로그인하여 신청하여야 하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장애인등록증(장애인복지카드)신청-개인정보입력-재발급사유[신용카드등과 통합된 등록증 발급신청] 클릭-신용,직불카드 중 선택 클릭-결제 정보 입력-배송지 입력-구비서류 입력-수령방법 선택-민원신청 끝!

홈페이지 링크

 

 

장애인등록증 관련 Q&A

금융카드형 장애인등록증 신청과 관련하여 자세한 사항은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나

복지로 콜센터(☎129)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보건복지부 QnA도 첨부하오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30327_장애인등록증 교통기능 전국호환 관련 질의&답변.pdf
0.14MB

 

댓글